신대원 졸업 후 오랜만에 히브리어 성경을 펴봅니다. 성경 본문에 관한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본문에서 이야기하는 참 뜻인가 싶어 어느 때 부터 인가 매주 설교를 준비하며 한자 한자 단어의 뜻을 살펴가며 살펴봅니다. 물론 학자가 아니다 보니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신대원 1학년때 존경하는 고 정훈택 교수님이 원어를 공부하는 첫단계가 읽는 것부터라는 이야기가 떠올라 용기를 내어 다시 한번 신대원에서 배운 알파벳과 히브리어 자.모음을 동원해 읽기부터 시작해 보려 합니다. 어려운 게 아니라 익숙하지 않아서 더 보기 힘들다는 교수님의 말처럼 좀 익숙해 져야 겠습니다.
읽기를 다짐하고 관련 자료를 검색하다. 읽기에 필요한 "BHS 성경 읽기 안내"와"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를 아래에 첨부했습니다.
히브리서 성경(BHS) 읽기 안내
히브리어 문법을 공부한 많은 사람들이 히브리어 성서(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BHS, 1977)를 읽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 이유는 히브리 성서(BHS)가 레닌그라드 코덱스(Leningrad Codex)에 기초한 본문 외에 맛소라 표기와 본문비평에 사용된 복잡한 기호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글은 (1) 히브리어 성서의 페이지 구성, (2) 맛소라 표기, 그리고 (3) 본문비평에 사용되는 기호를 설명함으로써 히브리어 성서를 읽고자 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글은 엘리스 브론츠(Ellis R. Brotzman)의 『구약성서 본문비평 입문』(Old Testament Textual CriticismA Practical Introduction, 1994)과 폴 웨그너(Paul D. Wegner)의 『성서 본문비평』(Textual Criticism of the Bible, 2006)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1. 페이지 구성
첫째, 히브리 성서(BHS)의 페이지 구성에 대해 살펴보자. 아래의 이미지는 히브리 성서(BHS)의 민수기 12:4-13:3 부분이다.
A: 히브리 성서 상단에 책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는데, 짝수 페이지 번호는 히브리어로, 홀수 페이지 번호는 라틴어로 각각 책의 제목이 기재되어 있다.
B: 히브리어 자음 ס(싸멕)은 패러그래프를 닫는다는 표시다.
C: 15번째와 19번째줄의 히브리어 자음 פ(페)는 패러그래프를 시작한다는 표시다. 고대문서에서는 새로운 줄이 여기서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 오른쪽 여백은 맛소라 파르바다(Masorah parva; samll Masorah).
E: 히브리어 본문 바로 아래에 맛소라 매그나(Masorah magna; large Masorah)가 위치해 있다. 여기의 맛소라 매그나는 Cp12로 시작하는데, 그뜻은 민수기 12장에 대한 맛소라 매그나를 기입하였음을 의미한다.
F: 맛소라 매그나 밑에 본문비평에 사용된 기호들을 포함한 본문비평 기호들이다. 본문비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필자의 에세이 구약성서 본문비평을 참조하라.
G: 왼쪽 밑부분 여백에 히브리어 자음 ס(사멕)은 예전에 사용된 토라의 분할을 표시하는 것이다. 팔레스타인 유대인은 토라를 167 부분으로 분할하였고, 바벨론 유대인은 54부분으로 분할하였다. 히브리어 자음 ס(사멕) 밑에 히브리어 פרשׁ 는 페라샤(Parashah, 주간 분할된 토라)가 이부분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지시하고 있다. 이 표시는 주간에 읽을 성서일과와 같은 것으로, 이 표시에 따라 매주 히브리 성서를 읽으면 1년에 토라를 다 읽게 된다.
2. 맛소라 표기
둘째, 맛소라 표기에 대해 살펴보자. 아래의 이미지는 히브리 성서(BHS)의 출애굽기 32:16-30 부분이다.
맛소라 표기에서 다음 두가지가 가장 중요하다: 케팁-케레(Kethiv-Qere)와 헤팩스 레고메논(hapax legomenon). 맛소라 표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 두책을 참고하라: Reinhard Wonneberger, Understanding BHS: A Manual for the Users of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trans. Dwight R. Daniels, 2d ed.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Press, 1990]와 William R. Scott, A Simplified Guide to BHS [Berkeley: BIBAL, 1987]).
B: 위 예제 페이지의 오른쪽 여백 전체가 맛소라 파르바다. 모음이 없는 히브리어/아람어로 표시되어 있어 초보자가 이해하기에 쉽지 않다.
C: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맛소라 파르바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케팁-케레(Kethiv-Qere)다. C박스 안의 ק(콥프)는 아람어 분사 קְרֵא (Qere, “what is read”)로서 “읽혀진” 이라는 뜻이다 . 즉 본문에 적혀있는 히브리어 읽기를 전통에 따라 맛소라가 교정한 것이다. 읽기를 교정해야 할 단어는 같은 줄의 히브리어/아람어 단어 위에 조그만 점을 쳐서 표시하였다. 이경우에는 맛소라 파르바가 מִיָּדָו 로 적혀있지만, מידיו로 읽어야 한다고 표시하였다. 대부분의 케팁-케레는 히브리어나 아람어의 다양한 철자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4절: 맛소라 파르바의 또다른 중요한 것은 헤팩스 레고메논(hapax legomenon)다. 위의 예제 페이지의 경우 24절 끝에 맛소라가 히브리어 자음 ל 위에 작음 점이 찍어서 표시하였고, 해당 단어 위에 작음 점이 찍어 표시하였다. 즉 두 단어는 히브리어 성서에서 이 구절에만 나온다는 뜻이다.
3. 본문비평에 사용되는 기호
세째, 히브리어 성서(BHS)에 포함된 본문비평에 대해 살펴보자. 히브리어 성서 아랫부분에 본문비평시 사용되는 기호들을 보여준다. 히브리 성서(BHS)의 기초가 된 코덱 레닌그라덴시스가 아니라 다른 고대사본이나 번역본에서 다른 본문읽기를 할 경우 본문비평한다. 즉 다른 사본이나 번역본에서 삭제되었거나 첨가된 본문읽기를 비교/대조한 본문비평의 실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문비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필자의 에세이 구약성서 본문비평을 참조하라. 아래의 이미지는 히브리 성서(BHS)의 창세기 1장 부분이다.
본문 비평란의 Cp는 해당 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위의 경우 Cp. 1,1은 창세기 1장 1절에 대한 본문비평 기호임을 지시한다. 위의 예제는 창세기 1장 7절이다.
“7a-a”: 본문비평을 하고자 하는 부분의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Cf 6a: 6절과 비교하라는 뜻이다.
ins: 편집자는 7절의 a-a부분에 6절과 비교하여 וירא אלהים כי־טוב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다”)라는 절을 첨가할 것을 제안한다.
cf: 4절, 10절, 12절, 18절, 21절, 31절과 비교하라.
et: “그리고” 라는 뜻으로 칠십인역의 8절을 참조하라는 뜻이다.
본문비평을 하기 위해서는 위의 예제와 같이 비평에 사용된 기호들과 사본/번역본 생략어를 알아야 한다. 비평에 사용된 언어와 기호, 그리고 사본 생략어를 통틀어 textual apparatus라고 한다. 혹자는 textual appratus를 본문 비평장치라고 한국어로 번역하는데, 이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문비평이 기구나 장비를 사용하는 어떤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본문 비평장치라는 한글번역은 부적절하다. 따라서 필자는 본문 비평장치라는 한글번역 대신 본문 비평기호라고 부른다. 본문비평에 사용된 사본/번역본의 생략어는 다음과 같다:
Albright, William F. “New Light on Early Recensions of the Hebrew Bible.” BASOR 140 (1955): 27-33.
Barr, James. “A New Look at Kethibh-Qere.” OTS 21 (1981): 19-37.
Blau, Ludwig. “The Extraordinary Points in the Pentateuch.” JQR 19 (1907): 411-19.
Cross, Frank M. “The Contributions of the Qumran Discoveries to the Study of the Biblical Text.” IEJ 16 (1966): 81-95. Reprinted in QHBT. See pp. 278-92.
. “The Evolution of a Theory of Local Texts.” In QHBT. See pp. 306-20.
Dotan, Aron. “Massorah.” EJ 16:1401-82.
Freedman, David N. “The Massoretic Text and the Qumran Scrolls: A Study in Orthography.” Textus 2 (1962): 87-102. Reprinted in QHBT. See pp. 196-211.
Ginsburg, Christian D. Introduction to the Massoretico-Critical Edition of the Hebrew Bible. Repr. New York: KTAV, 1966. See pp. 9-107, 183-96, 308-67.
Sperber, Alexander. “Problems of the Masora.” HUCA 17 (1942-43): 293-394.
Talmon, Shemaryahu. “Aspects of the Textual Transmission of the Bible in the Light of the Qumran Manuscripts.” Textus 4 (1964): 95-132. Reprinted in QHBT. See pp. 226-63.
Tov, Emanuel. “A Modern Textual Outlook Based on the Qumran Scrolls.” HUCA 53 (1982): 11-27.
Waltke, Bruce K. “The Textual Criticism of the Old Testament.” In Biblical Criticism: Historical, Literary, and Textual, edited by Roland K. Harrison et al. Grand Rapids: Zondervan, 1978. See pp. 47-65.
Wonneberger, Reinhard. Understanding BHS: A Manual for the Users of the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84. See esp. pp. 61-73.
Würthwein, Ernst.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Biblia Hebraica, translated by Erroll F. Rhodes. Grand Rapids: Eerdmans, 1979. See esp. pp. 17-20.
② Hebrew - English Bible by Books 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한꺼번에 음원압축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각 권별로도 다운 받으실 수 있고, 율법서,성문서,예언서 분류로 다운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다운받아서 듣기에는 이 곳이 더 나을겁니다.
댓글